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어느 날 인터넷이 떠들썩했어요.
중고등학생들이 친구의 얼굴을 합성한 조작 사진을 SNS에 올렸고,
그게 순식간에 퍼지면서 학교폭력, 사생활 침해 문제로까지 번졌죠.
그런데 이건 남의 일이 아니에요.
우리도 내 얼굴이나 아이 사진이 누군가에게 ‘마음대로’ 사용된다면 어떨까요?
헉! 😨 이런 상황, 상상만 해도 좀 무섭지 않나요?
요즘은 AI 기술로 사람 얼굴을 그대로 복제하거나,
그림 하나만 보고 스타일을 학습해 비슷한 이미지 수십 장을 만들어내는 일이 아주 흔해졌어요.
그런데 말이에요,
만약 여러분의 얼굴이,
혹은 아이의 사진이 동의 없이 다른 사람의 영상이나 콘텐츠에 쓰인다면요?
🎭 딥페이크와 얼굴 인식 기술, 어디까지 알고 계세요?
- 딥페이크(Deepfake)는 얼굴이나 목소리를 AI가 조작해
마치 실제인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기술이에요. - 얼굴 인식 기술은 공항이나 핸드폰 잠금 해제처럼 편리하지만,
누군가 ‘몰래’ 우리의 얼굴을 수집하고 있다면 어떨까요?
AI는 아주 작은 사진 한 장만 있어도 ‘비슷한 사람’
혹은 ‘그 사람처럼 보이는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그래서 우리는 꼭 기억해야 해요:
“내 얼굴도 개인정보다.”
🤖 기술은 도구일 뿐, 사용법이 중요해요
기술 자체는 나쁘지 않아요.
하지만 누가, 어떤 목적으로 쓰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너무나 달라지죠. 😨
그래서 AI 시대에는 아이와 함께 이렇게 이야기 나눠보는 게 중요해요:
- “사진 올릴 때, 이걸 누가 볼 수 있을까?”
- “이 그림을 AI가 저장해둘 수도 있어. 괜찮을까?”
- “내 얼굴이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 확인할 수 있을까?”
이런 대화를 통해
기술을 맹신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힘 = 디지털 리터러시 를 키워줄 수 있어요.
디지털 리터러시는 이전 글에서 살짝쿵 설명드렸죠? ^^
(카테고리가 따로 있어요~)
https://codetreelab.tistory.com/37
“디지털 정보, 어떻게 믿을 수 있을까요?” — 디지털 리터러시 첫걸음
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카테고리를 하나 더 만들었습니다. ^^; 이제는 검색 한 번이면수천, 수만 개의 정보가 화면에 쏟아지는 시대죠.그런데…그 많은 정보들,우리는 어디까지 믿어도
codetreelab.tistory.com
💬 엄마와 아이의 상상 대화 예시
🧒 “엄마, 내가 그린 고양이 그림이 너무 인기 많아졌대!”
👩 “와~ 멋지다! 그런데 그 그림, AI가 기억할 수도 있어. 그걸 다른 광고에 써도 된다고 한 건 아니잖아?”
🧒 “엥? 그럼 내 고양이가 유명해지는데 내가 모를 수도 있어?”
👩 “맞아. 그래서 올릴 때는 꼭 생각해보고, 내가 만든 건 ‘내 것’이라는 걸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단다.”
📌 마무리하며
AI 기술은 이제 일상이에요.
그림 하나, 사진 한 장도 그냥 올리지 말고,
“이건 내 얼굴, 내 작품, 내 데이터야.”
라는 감각을 키워주세요.
다음번엔,
“AI에게 ‘내 정보’를 얼마나 알려줘야 할까?” 에 대해서도 이야기해볼게요 😊
'🌲 인공지능 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AI 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0) | 2025.05.07 |
---|---|
[AI 윤리 – 3탄] 이 콘텐츠, 사람일까? AI일까? (0) | 2025.05.04 |
[AI 윤리 - 2탄] 정직한 데이터가 AI를 바꾼다. (0) | 2025.05.04 |
[AI 윤리 - 1탄] AI 윤리부터 시작해볼까요? (0) | 2025.05.04 |
“AI, 진짜 쉽게 시작해봐요 🤖”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