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AI 윤리 이야기, 오늘은 두 번째 시간이에요.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AI는 스스로 판단하지 않아요.
사람이 제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고,
그 안에서 패턴을 찾아내고, 그걸 ‘지능처럼’ 보여주는 거예요.
그래서 저는 오늘, AI를 움직이는 '데이터의 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 데이터, 그냥 정보가 아니에요
요즘은 이런 말도 하죠:
"데이터는 21세기의 석유다."
데이터는 AI의 연료와 같아요.
깨끗한 연료가 좋은 성능을 내듯,
정직하고 다양하며 균형 잡힌 데이터가 좋은 AI를 만듭니다.
반대로, 편향되거나 부정확한 데이터를 주면…
AI는 거짓을 ‘진실처럼’ 배우고 말하게 돼요.
🧠 예를 들어볼게요
예를 들어, AI에게 이런 데이터를 줬다고 상상해볼게요:
- 모든 의사는 남자, 간호사는 여자라고 표현된 문장들만 학습했어요.
- 특정 인종이나 국가는 부정적으로 묘사된 기사만 수천 개 입력했어요.
그럼 AI는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요?
“의사는 남자야.”
“이 나라는 위험해.”
😨 우리가 원하지 않는 편견을 그대로 복사해서 되풀이하게 되는 거죠.
📌 왜 정직한 데이터가 중요한가요?
AI는 현실을 비추는 거울이 아니에요.
우리가 어떤 데이터를 주었느냐에 따라,
현실을 왜곡해서 보여주는 렌즈가 되기도 해요.
그래서 AI가 사람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면,
우리는 먼저 AI에게 정직하고 공정한 세상을 보여줘야 해요.
저는 정말정말 이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고 싶었어요 😊
👨👩👧 우리 아이가 만든 데이터도 학습된다면?
AI는 인터넷에 올라온 수많은 글, 댓글, 이미지를 학습합니다.
그 안엔 어린이의 일기, 엄마의 블로그, 우리가 쓴 리뷰도 포함돼 있을 수 있어요.
우리가 만든 콘텐츠가 AI의 교과서가 될 수 있다면?
그렇다면 앞으로는 더 정직하게, 더 책임감 있게 글을 쓰는 일이 단순한 예절이 아니라
AI 사회를 위한 교육이 될 수도 있겠죠.
필수... 입니다. 여러분!!!
악성댓글... 원래도 나쁜거고 하면 안되는 거였지만...
이젠요... 그냥 나쁜게 아니고 정말 무서운 일이에요.... 😨
이런 내용을 학습한 AI가 앞으로 내 집에서 내 부모와 아이를 케어한다면......
으악~~~ 생각만 해도 저는 너무너무 무섭네요!!!
✨ 다음엔 어떤 이야기를 나눌까요?
AI가 만든 콘텐츠, 사람과 어떻게 다를까요?
우리는 진짜와 가짜를 구별할 수 있을까요?
다음 시간에는 그 이야기를 나눠보려 해요 😊
— CodeTree Lab 드림
📌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 [AI 윤리 - 1탄] AI 윤리부터 시작해볼까요? https://codetreelab.tistory.com/16
- [AI 윤리 - 3탄] 이 콘텐츠, 사람일까? AI일까? https://codetreelab.tistory.com/18
'🌲 인공지능 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윤리 - 4탄] 내 얼굴이 마음대로 쓰인다면? (4) | 2025.06.04 |
---|---|
초등 AI 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 (0) | 2025.05.07 |
[AI 윤리 – 3탄] 이 콘텐츠, 사람일까? AI일까? (0) | 2025.05.04 |
[AI 윤리 - 1탄] AI 윤리부터 시작해볼까요? (0) | 2025.05.04 |
“AI, 진짜 쉽게 시작해봐요 🤖”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