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코딩 첫걸음

“입력한 숫자로 계산해볼까요?”

codetreelab 2025. 5. 12. 21:16
반응형

 

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지난 글에서 input()으로
컴퓨터가 우리에게 이름이나 좋아하는 걸 물어보는
"대화 코딩"을 해봤죠?

이번엔 숫자를 입력받아서 계산하는 코딩을 해볼 거예요!


💬 이런 상황, 생각해보세요!

사과 한 개에 500원인데,
내가 3개를 샀다면 얼마일까요?

 

이걸 코드로 바꾼다면...

컴퓨터가 계산하기엔

아주 간단한 계산이에요! 😊


✅ 먼저 이런 코드부터 해볼게요

count = input("사과 몇 개 샀어요? ")
price = 500

total = price * count
print("총 가격은", total, "원이에요!")

 

그런데 실행해보면…
🚨 에러가 날 수도 있어요!

왜일까요?


🧠 input()은 “문자(string)”로 저장돼요!

즉, "3" 이라는 글자로 받아온 거예요.

계산하려면

이걸 숫자로 바꿔야 해요!

 

무슨 말이냐구요? 😊

 

컴퓨터는 숫자만 계산이 되요~(물론 우리도 그렇지요? ^^)

컴퓨터는 숫자형태를

진짜 숫자와 문자 숫자로... 구분을 하거든요~

 

10 --> 숫자 십 (10개)

"10" --> 문자 일공이에요~ (그냥 글자 두 개)

그래서 필요한 게 👉 int() 함수예요!

 


✔️ 고친 코드

count = int(input("사과 몇 개 샀어요? "))
price = 500

total = price * count
print("총 가격은", total, "원이에요!")

 

 

💡 int()는 "문자 → 숫자"로 바꿔주는 함수예요.

이제 3 * 500 = 1500 이 잘 계산돼요!


🧪 더 해볼까요?

 
a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b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print("두 수의 합은", a + b, "입니다!")

👩‍👧 아이와 응용해보는 질문들

  • "한 권에 1200원인 책을 몇 권 샀을까요?"
  • "간식이 800원인데 5명에게 나눠주려면 얼마?"
  • "내가 가진 용돈으로 사탕을 몇 개 살 수 있을까?"

이런 실생활 속 계산들을
직접 입력하고

계산해보는 코드로 바꿔보세요 😊


🌱 마무리하며…

이제 우리는 컴퓨터에게
"입력받고 → 숫자로 바꾸고 → 계산해서 알려줘!"
이렇게 말할 수 있게 되었어요 💡

 

이건 코딩의 기본 중 기본,
정보를 받아서 처리하는 과정이에요!

 

다음 번엔 또 어떤 내용이 있을까요? ^^ 😊

— CodeTree Lab 드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