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파이썬으로 코딩을 시작해본 분들,
첫 줄로 "Hello, world!"는 잘 출력해보셨나요?
오늘은 그 다음 단계!
숫자 계산도 print로 할 수 있어요~ 🧮
💡 print는 숫자도 출력할 수 있어요
우선 간단하게 이렇게 한 줄만 써볼까요?
print(2 + 3)
결과는?
정말 그대로예요!
2 더하기 3 = 5
파이썬은 이렇게 숫자 계산도 척척 해줘요 😊
❌ 그런데 이렇게 쓰기만 하면 불편해요~
예를 들어, 오늘 과일을 샀다고 해볼게요.
결과 잘 나오나요?? ^^
근데 계속 이렇게 사용하면...
숫자가 바뀔때마다 하나하나 다 고쳐야 해요!
실수할 확률도 높아지고,
코드도 점점 복잡해지겠죠?
아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께요~
✅ 변수로 정리하면 훨씬 편해요!
이럴 땐 “변수”라는 걸 써서
숫자에 이름을 붙여보는 거예요!
결과는 위의 예제랑 똑같아요~
하지만, 💡 apple의 갯수와 banana의 갯수가 바뀐다면??
print("바나나는", 2, "개예요")
print("총 과일은", 3 + 2, "개예요")
👉 이렇게 숫자만 넣으면,
3, 2, 3, 2 총 4개를 바꿔야 해요~
만약, 사용하고 있는 곳이 더 많다면???
하나하나 다~~~ 고쳐야겠죠?!! 😥
근데,
banana = 2
print("바나나는", banana, "개예요")
print("총 과일은", apple + banana, "개예요")
이렇게 해두면 아래에서 몇개를 사용하던
맨위 숫자(3, 2) 딱 한 번만 숫자를 바꾸면 끝!
사과가 5개가 되면?
apple = 5 만 바꾸면 돼요 😊
apple, banana 같은 것을 변수라고 불러요~
변수는 프로그램 수행중에 필요한 값들을
저장해 두는 그릇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
근데 그릇이 여러개 있을 수 있겠죠?
그릇마다 이름을 붙여주어 사용한답니다.
apple =3, banana =2
이렇게 사과 그릇, 바나나 그릇에
각각 값을 담아두고, 필요할 때 꺼내 쓰는 거예요!
📌 코드가 길어지고 복잡해질수록
변수는 귀찮음 줄여주는 최고의 도구예요!
🧠 변수는 왜 필요할까요?
수정할 때 | 여러 줄 고쳐야 함 😥 | 한 줄만 고치면 됨 😊 |
의미 이해 | 숫자만 보면 무슨 뜻인지 모름 | 이름이 있어서 이해 쉬움 |
코드 재사용 | 어렵다 | 편하다 |
👩👧 아이에게 이렇게 설명해보세요
“변수는 이름표 붙인 숫자야~”
“apple = 3 이면 사과 3개라는 뜻이지!”
“숫자에 이름을 붙이니까 헷갈리지 않아~”
🌱 마무리하며…
처음엔 그냥 숫자를 넣는 게 쉬워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조금만 코드가 길어지면
변수로 정리하는 게 훨씬 편해지고 실수도 줄어요!
다음 글에서는 이 변수를 가지고
작은 이야기나 계산 프로그램도 만들어볼 수 있어요.
코딩은 생각을 정리하는 도구니까요! 🧠
— CodeTree Lab 드림
'🌿 텍스트코딩 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력한 숫자로 계산해볼까요?” (0) | 2025.05.12 |
---|---|
“컴퓨터가 내 이름을 물어본다면?”: input() 함수로 컴퓨터와 대화해보는 첫 연습 (2) | 2025.05.12 |
“변수로 나만의 문장을 만들어볼까요?” (4) | 2025.05.11 |
Hello, World! 파이썬으로 첫 코딩 해요 (2) | 2025.05.07 |
“파이썬? 진짜 코딩을 시작합니다!” 🌿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