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텍스트코딩 첫걸음

“컴퓨터가 내 이름을 물어본다면?”: input() 함수로 컴퓨터와 대화해보는 첫 연습

codetreelab 2025. 5. 12. 09:17
반응형

input() 함수로 컴퓨터와 대화해보는 첫 연습

 

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지금까지는 우리가 컴퓨터에게
"이거 출력해줘~" 하고 명령하는 연습을 했죠?

 

이번에는 반대로!
컴퓨터가 우리에게 말을 거는
아주 신기한 코딩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 컴퓨터가 나에게 “이름이 뭐야?” 하고 물어본다면?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 input() 이라는 함수랍니다!


🧠 함수란?

💬 함수는 컴퓨터에게
“이걸 해줘!” 하고 시키는 명령어 묶음이에요.
작성해 놓고 계속 재활용도 할 수 있어요 ^^

  • print() → "출력해줘!"
  • input() → "키보드로 입력받아줘!"

🎯 input() 함수 예시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print("안녕하세요,", name, "님!")

 

🖥️ 실행하면 컴퓨터가 이렇게 말해요:
이름을 입력하세요:

 

⌨️ 우리는 키보드로 이름을 입력해요 (예: 시원이)

 

💬 그러면 화면에 출력돼요:
안녕하세요, 시원이 님!


✨ 직접 해보는 실습 예제

 
food = input("좋아하는 음식은 뭐예요? ")
print("오~", food, "저도 좋아해요!")
age = input("몇 살이에요? ")
print("와~", age, "살! 멋져요!")
 

이렇게 사용자(우리!)가 입력한 값을 기억해서
컴퓨터가 문장을 만들어주는 거예요 😊

 

앞에서 배웠죠? ^^

키보드에 입력된 값을 food에 저장하고,

age에 저장하라는 뜻이에요~


👩‍👧 아이와 함께 해볼 수 있어요

 
name = input("너 이름 뭐야? ")
color = input("좋아하는 색은? ")
print(name, "는", color, "색을 좋아하는구나!")
 

아이랑 번갈아 입력해보면
컴퓨터가 우리 이야기를 기억해서 말해주는 느낌이라
진짜 재미있어요!


🧠 정리해볼까요?

함수                  역할
print() 화면에 글자나 결과를 출력해줘요
input() 키보드로 값을 입력받을 수 있어요
 

이 두 가지만 알아도
컴퓨터와 대화하는 코딩이 가능해져요!

 

표준출력, 표준입력... 이런 용어를 쓰기도 하는데요...

용어가 중요한건 아니잖아요? ^^ 

 

모니터에 값을 보여주는구나

키보드로 값을 입력해주는 구나... 

정도만 알아도 충분해요~^^


🌱 마무리하며…

코딩은 어려운 수학이 아니라,
컴퓨터에게 말을 걸고, 대답을 듣는 연습이에요.

 

다음에는 input()으로 받은 숫자로
간단한 계산도 해볼 거예요!


벌써 재미있어지지 않나요? 😄

— CodeTree Lab 드림

 

** 실습하는데 모르겠는게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