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딩 씨앗 심기

[코딩 알고가자 - 3탄] 컴퓨터 없이도 코딩이 된다고요? (언플러그드 코딩이 뭐예요?)

codetreelab 2025. 5. 4. 11:15
반응형

안녕하세요, CodeTree Lab입니다 😊

 

지난 2탄에서 ‘컴퓨팅 사고력’ 이야기를 했었죠?
말은 어려워 보여도 결국은 ‘생각하는 힘’,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기르기 위한 과정이라는 거였어요.

 

자, 그럼 오늘은!
“코딩은 꼭 컴퓨터로만 해야 할까?” 라는 질문을 던져볼게요.
정답은… 아니요! 입니다.


💡 컴퓨터 없이도 코딩 교육이 가능해요!

이걸 ‘언플러그드 코딩(Unplugged Coding)’이라고 해요.
말 그대로 플러그를 뽑고,
컴퓨터 없이 진행하는 코딩 교육이라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아이와 함께 보드게임을 하면서
✔ 순서를 정하고
✔ 최단 거리를 찾고
✔ 미션을 해결하고
이런 활동들, 이미 해보셨죠?

그게 바로 언플러그드 코딩이에요!


🧩 언플러그드 코딩,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최단거리로 나가려면 어떻게 움직여야 하지?”
“아! 순서를 잘못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네?”
“같은 결과를 여러 방법으로 낼 수도 있구나!”

이런 말들이 나오는 순간,
아이의 머릿속에서는 이미 컴퓨팅 사고력이 자라고 있는 거예요 🌱


🎲 집에 있는 보드게임으로도 충분해요!

요즘은 코딩 교육용 보드게임도 많이 나오지만,
굳이 전문 도구가 없어도 괜찮아요.
집에 있는 게임들로도
문제 해결력, 절차적 사고, 논리적 사고를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어요.

 

심지어 요즘 나오는 교육용 로봇들(예: 다빈치, 큐브봇 등)도
이 영역에 넣기도 합니다.
전원을 켜고 연결은 하지만,
코드를 직접 쓰는 게 아닌 논리 연결 방식으로 동작하니까요.


🧠 결국 중요한 건, “놀이처럼 접근하기!”

일상 속에서 아이와 놀며 자연스럽게
“이 방법은 어때?”, “왜 이렇게 됐지?”,
“다른 방법도 있지 않을까?” 하는 탐구의 말들이 오갈 때,
이미 언플러그드 교육은 시작된 거예요.


🎯 정리!

언플러그드 코딩 = 컴퓨터 없이 하는 코딩 교육
→ 놀이, 활동, 게임으로
→ 절차적 사고 + 문제 해결력 키우기!


이미 코딩 교육을 하고 계셨던 거예요!
아이와 놀아주고, 고민해주는 그 순간들이
바로 최고의 언플러그드 교육이라는 것,

기억해주세요 💛


다음 편은
4탄: "실제로 코딩을 해본다면 어떤 방식들이 있을까?"
조금 더 실전 코딩 쪽으로 넘어가볼게요!


기대해주세요 🙋‍♀️

— CodeTree Lab 드림

반응형